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형사고소4

형사소송에서 고소, 고발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형사소송에서 고소와 고발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고소는 피해자(고소권을가진사람) 이 범죄에 대해 수사기관에 신고해서 범인을 처벌해달라고 하는 것을 말한다. 단순한 피해신고가 아니다. 고소권을 가진사람이라는 건 기본적으로 범죄의 피해자와 피해자가 무능력자의경우 법정대리인, 피해자가 사망한경우는 직계가족이나 형재자매이다. 범인이 직계존속인경우라면 어떨까?원칙적으로 직계존속은 고소를 할수 없다. 하지만 성폭력을 당했을때는 직계존속도 고소할수 있다. 고소를 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경찰서에가서 그냥 말하면 된다. 말주변이 없다면 고소장을 작성해서 제출할수도 있다. 고소장이라는건 특별히 정해진 양식은 없다. 고소장에 쓸내용은 고소인,피고소인,피해내용, 처벌을 원한다 4가지만 들어있으면 된다. -내가 상대방을.. 2020. 12. 23.
형사 고소를 당했다면? 합의,피해보상 에 대해 알아보자. 형사사건은 처벌만 하는 것이 아니다. 형사사건의 처리과정에서 검사나 판사는 피의자나 피고인에게 합의하라고 권유하고 합의를 하면 이를 참작해서 가벼운 처분을 내리거나 판결을 약하게 해주는것이 관례이다. 하지만 형사고소에서 합의를 강요할수는 없다. 피해보상, 합의라고하면 기본적으로 민사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기때문이다 형사사건에서는 참고만 할 뿐이다. 따라서 검사나 판사가 권유했는데 합의(피해보상)을 안하면 민사소송으로 해결해야한다. 결론은 합의라는건(피해보상) 민사로 해결해야 하는것이란 뜻이다. 그러나, 경우에따라 형사사건에 따라 배상명령을 신청하여 민사문제까지 처리하는 경우도 있긴하다 합의나 피해보상은 기본적으로 민사소송으로 해결해야하는것이라는 것을 알아두자 2020. 12. 22.
형사고소를 당했다면? 불기소 처분에 대해 알아보자 형사 고소를 당한경우 검사가 사건을 수사했는데 이건 재판에 회부할 껀덕지가 없다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기소를 하지 않고 사건을 종결시킵니다. 이것을 불기소 처분이라고 합니다. 불기소처분은 기소유예, 혐의 없음, 죄가 안 됨, 공소권 없음, 각하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에서 1. 기소유예는 죄는 인정되는데 피의자(가해자)의 나이나, 성행, 환경, 원고(피해자)에 대한 관계, 범행의 동기나 수단 범행후의 정황 등을 참작해서 기소를 해서 재판에 넘기면 전과자가 될 것이 100%이나. 전과자를 만들기 전에 다시한번 성실히 살수 있게 기회를 주기위해 기소하지 않는것이다. '선도조건부 기소유예제도'가 있는데 이는 피의자를 선도해서 앞으로 다시 같은 죄를 짓지 않겠다는 조건하에 검사가 기소유예를 하는것이다. -한번.. 2020. 12. 10.
형사 고소를 당했다면? 송치 , 기소 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송치 란? 형사사건은 검사만이 수사를 종결할수 있습니다. 사법 경찰관은 수사한 모든 형사사건에 대해 기록과 증거물을 검찰청으로 보내야합니다. 이것을 송치한다고 합니다. 구속한 경우 피의자를 검찰청으로 보냅니다. 이것도 송치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사법 경찰관은 송치할 때 그동안 수사한 결과를 종합하여 사법경찰관 자신의 의견을 붙여서 송치하게 됩니다. 이것을 송치의견이라고 합니다. (기소,불기소, 기소중지, 무혐의) 이렇게 송치된 의견은 검사가 수사를 종결하는데 참고하여 사건을 종결하게 됩니다. #기소 란? 송치된 사건에 대해 검사가 판단해 피의자가 재판을 받아야 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법원에 회부하게 됩니다. 이것을 공소제기, 즉 기소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기소가 된 사람을 피고인이라고 합니다. #약식기.. 2020. 12. 9.
반응형